실용음악학과 한상현 교수님(겸임) 유튜브 사이버 강의 링크(한국대중가요와문화3-1)
페이지 정보

본문
실용음악학과 한상현 교수님(겸임) 유튜브 사이버 강의 링크(한국대중가요와문화3-1)
[3주차-1차시 학습 요약]
1980년대의 음악적 양상
◆ 1970년대 포크와 록(젊은 양식의 등장)으로 기존 1960년대 트로트와 기성 스탠다드 팝의 세대 간의 갈등이 격화된 시기/but 1980년대는 당시까지 등장했던 양식이 종합과 타협의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시기(예, 조용필)-1980년대를 대표하는 인물,뮤지션, 한국 대중음악의 살아있는 역사
◆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국인(조선인)에 의해 작사작곡 되어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가요 시장에서 유통된 대중가요의 흐름은 여러 시기로 구분이 가능함/기존의 음악과 이질적인 새로운 양식이 솟아오르며 젊은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취향갈등을 수반하는 시기도 있고, 비교적 여러 세대가 함께 공감하며 음악의 기량 발전과 안정감이 상승하는 시기가 있음/후자가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넓은 공감과 기량 발진이 돋보인다면, 전자는 처음 시도하는 파격적인 음악 관습이 급격히 솟아오름으로써 새로움과 참신한에서 비롯한 불안정함을 지니는 시기
◆ 한국 대중가요사에서 젊은 세대가 주도하는 새로운 취향의 음악이 기성세대의 취향과 충돌하면서 급격히 상승했던 시기는, 1930년대, 1970년대, 1990년대라고 볼 수 있음/이 시기는 각각 식민지 세대, 전후 세대, 산업화 이후 세대가 청소년기에 도달했던 시기로, 1930년대의 트롯트, 1970년대의 포크, 1990년대의 댄스뮤직과 얼티너티브 록은 모두 이전 세대의 취향과 갈등을 빚었음/이에 비해 1960년대, 1980년대는 새로운 음악 경향이 나타났음에도 이전 시기의 경향과 결합하는 등, 세대 간 취향 갈등이 상대적을 적기 나타나는 시대... 이하 생략(동영상 참조)
- 이전글실용음악학과 한상현 교수님(겸임) 유튜브 사이버 강의 링크(한국대중가요와문화3-2) 20.04.01
- 다음글실용음악학과 한상현 교수님(겸임) 유튜브 사이버 강의 링크(송앤퍼커션3-2) 20.04.01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